원격 접속 방법
1. GUI로 원격 접속 (xrdp) |
우선 RDP(Remote Desktop Protocol)를 간단히 설명하면 GUI형식으로 다른 PC에 원격접속을 할 목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프로토콜이다. 윈도우에 기본적으로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깔려 있으므로 라즈베리파이에 xrdp 서버만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. xrdp는 오픈소스 진영에서 rdp를 리눅스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프로그램이다.
1. 라즈베리파이에 xrdp 서버 설치
설치하기전에 'sudo apt-get update'와 'sudo apt-get upgrade'를 통해 업데이트를 먼저 하는 것을 권유한다. 그 후 xrdp 서버를 라즈베리파이에 설치하기 위해 'sudo apt-get install xrdp'를 입력한다.
2. 윈도우에서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하기
① 원격 데스크탑 접속(Remote Desktop Connection)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. 이 프로그램은 rdp를 이용해 다른 PC에 접속하게 해주는 윈도우즈 기본프로그램이다. 윈도우7을 기준으로 시작버튼을 누르고 입력창에 'remote desktop connection'이나 'mstsc'를 입력해서 실행한다. 아래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면 라즈베리파이의 IP를 입력하고 접속을 누른다.
②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면 '예' 버튼을 클릭한다.
③ 아래와 같이 로그인창이 표시되면 사용자명과 암호를 입력하고 'OK' 버튼을 누린다. 위의 과장이 모두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다면 마지막 사진같이 라즈베리파이의 LXDE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.
■ 라즈베리파이 기본 id/pw : pi / raspberry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2. Putty로 원격 접속 - CLI(Command Line Interface) 방식 |
실행하면 이런 창이 하나 뜨는데요. Host Name에 cmdline.txt 에서 설정한 ip를 써주시고 (전 192.168.137.17)
Open 을 눌러주시면 되요.
눌렀을때 아래처럼 뜨면 성공!, 혹시 예(yes)/아니오(no) 로 뜨는 경고창이 뜨는 경우 예를 눌러주시면 되요.
만약 Network error : Connection timed out 이 뜰 경우엔 다른 ip로 바꿔주시면 될테고..
Network error : Connection refused 가 뜰 경우엔 잠시 기다렸다가 다시 시도하시면 될거에요.
로그인 창이 떳으니 id/password 를 입력해주면 로그인이 되요.
짠~ 원격으로 접속 성공!